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침착맨 와인킹 영상보고 와인 입문 간치아 모스카토 다스티 DOCG 맛, 가격, 뜻

반응형

침착맨 와인킹 영상보고 와인 입문 간치아 모스카토 다스티 DOCG 맛, 가격, 뜻

 

침착맨 침투부에 와인킹님이 게스트로 나와서 영상 너무 재밌게 봤다. 평소 맥주도 겨우 마시고 이슬톡톡이나 가끔 마시던 알쓰인데도 보고나니까 너무너무 도전해보고 싶어졌다. 와인 선물하러 와인샵에 갔다가 설명 듣고도 하나도 못 알아들어서 뭔가 어렵게만 느껴졌는데 진입장벽을 와인킹님이 확 낮춰준 느낌! 달달한 와인 '모스카토 다스티' 하나만 기억해뒀다가 트레이더스에 있길래 바로 집어왔다.

 

간치아 모스카토 다스티 와인병과 화이트 와인을 담은 와인잔

 

1. 모스카토 다스티란?

이탈리아 피에몬테 지역에서 생산되는 달콤한 스파클링 와인이다. 알콜 도수는 5-6도 정도이고 제품마다 향, 단맛, 탄산의 정도가 다른데 일반인인 내가 느끼기에 가장 큰 차이는 단맛과 탄산이었다. 

Moscato d'Asti 이탈리아어로 모스카토는 포도품종(정확히는 모스카토 비앙코), 다스티는 와인생산 지역이다. '아스티 지역의 모스카토'이라는 생각보다 직관적인 명칭이다. 

 

2. D.O.C.G란?

제품명에 DOCG가 붙은 게 있길래 뭔가 할텐데 결론은 '붙으면 좋은 것!' 

Denominazione di Origine Controllata e Garantita의 약자로 이탈리아 와인 분류 시스템의 가장 높은 등급이다. 와인의 품질, 지리적인 정확성에 대한 보증으로 이게 붙어 있으면 해당 와인이 엄격산 생산 기준을 충족했고, 특정 지역에서 생산되며, 품질검사를 거쳤다는 뜻이다. 와인의 지역특성과 품질 유지를 위한 심사단계로 와인 생산량, 포도밭 위치, 포도 재배방법, 포도 수확량, 와인 숙성기간 등 모두 심사 기준에 들어간다. 와인알못인 내 입장에서는 올리브유에서 '엑스트라버진' 고르듯이 이왕이면 붙은 걸로 고르자고 간단히 생각하고 있다. 

 

3. 모스카토 다스티 적정한 가격?

와인킹님이 입문자들은 만원 중반에서 사도 괜찮다고 하셨다! (비싼 걸 마셔도 그 섬세한 맛을 잘 모름ㅋㅋㅋ) 트레이더스나 마트 가도 만원~3만원 사이 제품들을 제일 많이 깔아두고 그 다음 가격으로 5만원 10만원 이렇게 껑충 껑충 금액대가 있었다. 트레이더스에 있는 모스카토 다스티 브랜드는 칸티, 몽시뇨레, 발레벨로, 간치아, 프리미엄 엠 등이 있고 금액대는 비슷하게 1만원 초중반대다. 프리미엄 엠은 지금 행사중으로 9,980원이다! (바로 옆에 브라케토랑 헷갈리지 않게 조심. 브라케토는 레드와인과 디저트와인 중간 느낌으로 모스카토 다스티보다는 단맛이 덜하다고 한다) 행사중인 걸로 마셔볼까 하다가 그래도 첫 입문이니까 그나마 그 중에서 제일 비싼걸로 골라보자 해서 간치아로 골랐다. 간치아는 14,980원이다. 

 

4. 간치아 모스카토 다스티 맛

술의 쓴 맛을 싫어해서 이슬톡톡이나 크루저, 블루베리 탄산소주, 자몽하이볼 이런 종류만 마셨는데 이런 것보다 인공향이 덜 하고 더 다양한 맛이 난다. 와인특유의 발효된 향, 부담스럽지 않은 향이 나고 딱 좋은 정도로 달고 끝맛이 산미로 마무리되어서 가볍다. 단맛이 너무 진한 경우에 계속 혀에 남는 경우도 많은데 간치아 모스카토 다스티는 단맛이 지나가고 가벼운 산미로 끝난다. 기존에 마시던 종류는 향도 주스에서 맡던 익숙한 인공향이고 "단 맛!! 탄산 퐝!!" 이런 느낌이고 단 맛도 세고 탄산도 세고 거기에 약간의 쓴 맛이 지나가서 자극적으로 정신없는 맛이라 다른 음식과 어울리지도 않고 탄산음료수에 가까운데 모스카토 다스티는 음료와 주류 딱 중간의 적절한 밸런스인 것 같다. 

 

5. 추천하는 안주

과일, 치즈, 하몽, 케익 등 단맛, 짠맛, 매운맛 다 잘 어울린다. 기름기가 많고 맛이 묵직한 메인 메뉴만 아니라면 식전주, 디저트와인으로 알맞게 웬만한 종류와 다 잘어울린다. 와인킹님은 심지어 방송에서 생라면 부숴서 같이 곁들였다! 단맛에는 단맛이라는데 한 쪽이 묻히거나 과하지 않을까 싶어서 짠맛, 매운 맛 종류로 곁들이니까 단짠맵 조화가 최고였다. 평소 즐기는 주전부리 아무거나 곁들여도 다 잘 어울린다. 

 

6. 추천하는 대상, 상황

홈파티처럼 가볍게 분위기를 돋구는 용으로 좋은 것 같다. 와인잔에 따라두면 투명한 색도 예쁘고 따를 때 탄산이 포르르 올라오는 것도 보기만 해도 기분이 간지럽고 들뜨는 느낌이다. 특히 여러 사람이 모일 때 술이 약한 사람도, 술의 쓴 맛을 싫어하는 사람도 함께 즐길 수 있는 점이 장점이다. 별명이 '작업주'일만큼 데이트할 때 곁들이기도 좋다. 홈파티, 가족모임을 열 때도, 초대받아서 갈 때도 취향 걱정 없이 고를 수 있는 와인인 것 같다. 

반응형

"); wcs_do();